20세기 서울의 근대화와 역사
한강의 기적과 서울의 팽창이라는 주제로 서울이 어떻게 4대문 안의 성곽 도시, 조선왕조의 도읍에서 오늘날의 1000만 세계 도시로 팽창해 갔는가의 과정에 대해서 하나씩 하나씩 도시 기능이 공간 구조에 어떤 변화를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보면서 단계별로 추적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은 워낙 우리가 많이 쓰고 있는 말이죠. 우리나라가 대략 1960년대부터 고도 경제성장을 시작해서 90년대 초중반까지 30여 년간 세계 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의 고도 경제성장을 지속했던 사실. 그 결과 서울이라는 도시 지역이 얼마나 급격하게 성장했는가를 압축적으로 표현한 일종의 문학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죠.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이 시기를 우리가 굉장히 고도 경제성장의 시기라고 하고, 또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회 전반적으로 아주 급속도로 근대화가 이루어졌다는 의미에서 압축 근대화 시기였다. 이렇게 부르기도 합니다.
한국의 압축 근대화
한국이 압축 근대화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다른 선진국들이 경험한 근대화의 기간이 짧게는 100년, 많게는 200년 이상 이렇게 걸렸던 변화를 우리는 반세기도 안 되는 아주 짧은 시기에 이루어냈다는 점에서 외형적인 경제성장이나 제도적인 민주화나 이런 측면에서는 명백히 그렇게 볼 수 있는 측면이 있죠. 그런 면에서 굉장히 시공간적으로 압축적인 변화를 겪었다는 의미에서 우리가 그걸 압축 근대화라고 하는데요. 말하자면 이게 오랜 기간에 걸쳐서 차근차근 해야 될 과제를 짧은 시간에 우리가 흔히 벼락치기로 해치웠다고 이야기하는데, 그렇게 되면 이게 한편으로 결과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친 변화와 비슷하게 훌륭한 발전을 이루었다면 우리가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이 당연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안, 내부 성격을 잘 드러나지 않는 질적인 속성을 들여다보면 사실 그렇게 급속한 변화는 여러 가지 문제점, 부작용을 낳기 마련이죠. 그래서 우리 사회는 외형적으로는 굉장히 빠른 발전을 이루었지만 또 그 안에서 못지않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서울의 역사
사실 그 내용이 바로 이 한강의 기적이라는 서울의 변화상 속에 그대로 드러나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한국의 압축 근대화를 이끌기도 했고, 그것의 주된 무대이기도 했던 서울이라는 공간이 어떻게 팽창해왔는가를 우리가 살펴볼 텐데요. 앞서 말씀드렸지만 조선시대의 한양, 한성부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야 될 것 같습니다. 한성부라는 공간이 크게 일반적으로는 4대문 안의 지역, 성곽 도시의 안 지역을 한성부다. 이렇게 생각하지만 한성부의 행정구역은 사실 상당히 넓었습니다. 그러니까 보통 성 내의 지역 플러스 성 바깥 4방 10리. 우리가 1리가 400m이니까 10리라고 하면 대략 4km 정도. 성 바깥의 4km까지 다 포함하는 지역을 일반적으로 한성부가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간주하는데요. 그렇게 봤을 때 기본적으로 한성부는 성 내 지역에 주된 모든 도시 기능이 집중되어 있고, 성저십리는 한성부 자체가 어떻게 보면 소비 도시이니까요. 그 안에서 행정이나 수도의 기능을 하고 있는 여러 가지 사람들은 지원해 줄 수 있는, 예를 들면 문방사우를 생산한다랄지 근교의 농업을 통해서 싱싱한 채소나 과일을 공급한다든지 혹은 여러 가지 분뇨나 쓰레기를 배출한다든지. 이런 기능들을 했고, 그다음 강을 한강 수원을 통해서,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던 경강상업을 통해서 여러 가지 상업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런 것들을 했던 것이 성저십리 기능이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죠. 그래서 농경시대의 일종의 행정 도시와 주변 근교 농업지대와 같은 이런 공간적인 기능 분화의 형태를 띠었던 것이 전통시대 한성부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이게 우리가 개항 이후에 근대화를 맞이하게 되면서 우선 첫 번째 우리가 대한제국기를 거치면서 일정한 자주적 근대화 노력을 했습니다만, 그게 성공하지는 못했고요. 얼마 가지 못해서 결국은 일제침략에 의해서 국권을 강탈당하고,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일본에 의한 식민지 도시화의 경험을 갖게 되죠.
'도시, 서울 역사, 세계 도시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방 이후 강남 개발의 역사 (0) | 2022.07.24 |
---|---|
종속이론의 등장배경과 비판 (0) | 2022.07.24 |
전통시대 서울의 이해 (0) | 2022.07.24 |
20세기 교통 네트워크 중심이었던 서울 (0) | 2022.07.23 |
근대 도시화의 서울과 인구의 팽창 (0) | 2022.02.18 |